철근콘크리트의 단위중량 기준
by ✯
철근 콘크리트의 단위중량 (또는 단위질량)에 관해서 각 기준들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고 통일되지 않고 있다.
이를 약간 정리해 본다.
도로교 설계기준
도로교설계기준(2016)에서는 철근콘크리트의 '단위질량'을 2500 kg/m3 으로 명기하고 있다.
이를 kN으로 환산하면 24.5 kN/m3 가 된다.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2021)
도로교설계기준(2016)과 마찬가지로 철근콘크리트의 단위질량은 2500 kg/m3 으로 명기되어 있다. kN으로 환산하면 24.5 kN/m3 이다.

상수도설계기준(2017)
이 기준에서는 희한하게도, 재료의 단위중량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설공사표준품셈에 따른다고 되어 있다.
그럼 건설공사표준품셈(2022)에서 철근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2400 kg/m3 로 되어 있다. kN으로 환산하면 23.52 kN/m3가 되므로 뭔가 이상한 숫자가 나와버린다.
공동구 설계기준 (KDS 29 14 00 : 2021)
이 기준에도 철근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24.5 kN/m3 으로 명시되어 있다.

결론
상수도 구조물을 설계한다하더라도 상수도설계기준의 단위중량보다는 도로교설계기준이나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에 나와있는 재료의 단위질량 표를 활용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나는 개인적으로 24.5 kN/m3 를 기본적으로 사용해서 설계한다.
발주처가 뭐라고 하지 않는 한.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활동하기
구조진단노트✯ 님의 블로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