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ulvert의 비직관적인 요소들
by ✯한길아이티의 Aculvert를 쓰다보면 상당히 비직관적인 메뉴구성에 실망할 때가 많다.
폭원 입력
그 중에 하나가 구조물의 폭원을 입력하는 위치의 비직관적 배치이다.
구조물을 입력할 때 어찌보면 가장 중요한 것이 전체 폭원 입력인데 좌측 트리에서 선형정보, 암거 기본구성, 구간설정, 지반정보, 종단제원, 단면제원, 횡단제원 까지 훑어도 이놈의 구조물 폭원 입력하는 곳이 없다.
이런 경우 U타입 구간 뒤에 BOX구간 이렇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게다가 벽체 안쪽 폭원을 앞쪽 구조물에서 입력하면 뒤에 이은 구조물의 내폭을 단면제원에서 입력하려면 노란바탕의 셀로 나오면서 입력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일 앞쪽의 구조물의 내측 폭원을 입력하면 따라 변하게 된다.
U-Type 단면제원에서 H1, H2, H3의 의미
H1과 H3는 단면변화가 없는 구간이고 H2는 단면변화부이다.
U-Type 단면제원에서 좌우벽체 높이가 다르게 나올 경우
평면선형 직선에, 전구간 편경사 좌우2% 인데도 좌우벽체 높이가 저렇게 다르게 설정되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왼쪽 트리에서 '종단 제원'으로 가면 좌측벽체와 우측벽체 높이가 다르게 들어간 것이 원인일 수 있으니 확인이 필요함.
부상방지저판 버림 콘크리트 두께가 이상하게 나올 경우
좌측 트리에서 기초형식에 가서 구간이 제대로 잡힌 것을 확인하고 기본값 등을 눌러서 버림 두께가 정상적으로 돌아오는지 확인.
지반정보 (지표면 EL, 지하수위) 입력시 구간 개념
지반정보에서 지표면 EL(토사 EL)을 입력할 때 보라색 라인이 나온다. 그런데 입력창에서 "구간사용"이라는 체크박스에 체크를 하지 않으면 어찌된 일인지 보라색 토사선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올바른 계산을 위해서는 토사라인을 구간사용을 이용해 입력해야 한다.
위 그림에 U+Type이 STA 20+000에서 시작해서 STA 67+500 에서 끝이 났다. 그리고 지표면 EL은 5.000 에서 시작해서 8.75로 끝내야 하는 상황이면, STA/길이에 67.5 라고 입력하는 게 아니라 67.5-20.0 = 47.5 를 입력해야 한다.
SAP 2000 돌릴때 파일명 길이때문에 에러가 날 수 있다
이렇게 뜨는 에러는 십중팔구 파일이름이 너무 길어서 생긴 에러다.
부상방지저판의 배근하는 위치는 따로 있다
주철근 입력 창에는 위 그림처럼 나오기 때문에 부상방지저판 관련 무슨 입력이 잘못되었나 싶게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부상방지저판 배근하는 위치는 저~ 밑에 "기타 철근"에 따로이 있다.
2D Frame 해석을 돌린 후에는 반드시 "적용"버튼을!!
2D Frame 해석을 돌린 후, 창 우측 하단의 적용버튼을 누르지 않고 좌측 트리메뉴에서 점프했다간 다시한번 돌려야 하는 불상사가 일어나니 조심할 것.
암거 내부 편경사 없애기
포장두께 없애고 LEVEL에 죄다 표시를 해놔도 뭔가 찌끄레기가 남아 위 그림처럼 29mm인지 뭔지가 종단구배 덕분인지 남아 있을 때, 중간쯤에 '차도부 전체설치'를 체크해제 하면 깔끔히 포장없이 LEVEL이 된다.
U-TYPE 벽체 주철근 1/2높이 (중앙부) 적용
일반적으로 옹벽 벽체를 배근할 때, 외측주철근은 온장짜리가 250간격, 그리고 벽체 절반높이+정착장 정도길이의 철근이 250간격으로 섞여 들어간다. 그리고 계산서에도 당연히 벽체 하부와 중앙부로 나뉘어 벽체중앙부는 250간격으로 철근량이 검토된다.
그런데 Aculvert 에서 U-Type 벽체를 배근할 때 이 부분이 정말 곤혹스럽다.
좌측트리에서 구조계산의 '단면검토위치설정'에서 좌측벽체 탭에서 모멘트...중앙부 거리를 1/4로 맞춰 최대한 올리고, 우측벽체 탭에서 모멘트...중앙부 거리를 3/4로 맞춰 최대한 올린다. (element 국부좌표계 방향이 반대다 보니 이렇게 맞춰야 한다.)
그리고 주철근 2,4 Cycle로 가서 좌측벽체의 LD1, 우측벽체의 RD1 길이를 조정해서 변화시키다 보면....
아래 그림처럼 나오던 녀석이...
아래 그림처럼 나오게 되면서 벽체 중앙부 철근이 확실하게 벽체 하부 철근의 절반이 들어가게 된다.
'구조계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재 재료물성치 Fye와 Fue (0) | 2020.07.18 |
---|---|
교량설계를 위한 인공지진파 데이터 2014.12 (1) | 2020.07.14 |
고무패드받침 계산상 앵커 위치 결정 (0) | 2020.07.13 |
변경된 내진설계기준을 고려한 지반응답해석 (0) | 2020.06.30 |
내진성능평가 받침지지길이 소요성능 N_D값 결정 (0) | 2020.01.03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