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앵커 관련 기준
by ✯관매달기 설계 및 교량 내진성능평가 수행시 콘크리트 앵커 검토가 들어간다.
콘크리트 앵커 설계시 참고해야 할 기준들 몇 개 정리해 본다.
1. 콘크리트용 앵커 설계기준 (KDS 14 20 54)
2. 콘크리트구조기준 (2012) - 부록 II 콘크리트용 앵커
3. 기존 시설물(교량) 내진성능 평가요령 (2019.10) - 국토교통부
KDS 14 20 54 콘크리트용 앵커 설계기준을 보면 이게 기준인가 싶을 정도로, 필요한 내용들을 다른 기준에 흩뿌려놓은 느낌이다. 기호에 대한 정의는 있으나 참고그림이 없어서 이게 도대체 뭘 말하는 지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내진성능평가요령에 일부 기호에 대한 예시그림이 있어서 참고해야 할 것이다.
아래 표에 나오는 h_ef는 앵커의 유효묻힘깊이인데 이에 대한 정의는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에 나와있다...;;
기준을 뭐 이따위로 만드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그리고 앵커 설계기준의 문구들이 '지들만 알아먹을 표현'으로 범벅이 되어 있다.
이 정도면 '기준을 만들기 싫어서 환장인 사람들'이 텍스트로만 대충 만든 기준이 아닌가 싶다.
강도감소계수 구할 때, 연성강재요소인지 취성강재요소인지를 알아야 한다. 적지않은 기존 앵커볼트 계산서에서 앵커볼트를 연성강재요소로 취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공식 문헌이나 규정에는 나와있지 않은 것 같다.
검색하다가 앵커볼트 연신율을 30% 정도로 보고 있는 논문이 있어서 백업해둔다.
앵커볼트 연신율이 30% 정도라면 연성강재요소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인장에 대한 강도감소계수는 0.75, 전단에 대한 강도감소계수는 0.65로 볼 수 있다.
'규정및지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구설계기준(2018) 노면활하중의 모호성 (0) | 2022.05.27 |
---|---|
PQ평가기준::신입사원 비율로 가점? (0) | 2022.05.11 |
방재분야 실적 무리하게 욕심내지 말아야 (0) | 2022.04.26 |
바보같은 비계설계기준 KDS 21 60 00 : 2020 (0) | 2022.04.08 |
비계 설계기준 : 바보같은 부재 안전율 기준 (4) | 2022.04.06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