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직 지반변형계수 E0값 관련 규정
by ✯지반반력계수를 구하기 위해 수직 지반변형계수 E0값일 필요할 때가 있다.
하지만 이 E0값이 항상 문제가 된다.
E0=2800N
E0=1000N
E0=700N
뭘 적용하면 될 지....
규정이 규정다우려면 지반의 형질에 대해 어떤 식을 적용할 지 확실하게 규정에서 제시를 해줘야 하는데, 지반·토질 관련한 규정은 특히 확실하고 명백한 게 많지 않아서 곤란한 적이 많다.
아래는 도로설계편람(국토해양부,2012)에 나와있는 E0값에 대한 내용이다. SI단위계로 하면 E0=2800N (KN/㎡)을 사용할 수 있는 근거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2800N는 과다하다는 의견이 많았고 (특히 한국도로공사) 그래서 과업별로 상이하긴 하지만 한국도로공사 자체발주 과업에서는 E0=700N (KN/㎡)으로 적용한 경우도 많다.
도로설계편람+토공+및+배수+편+2012.z01
10.00MB
도로설계편람+토공+및+배수+편+2012.zip
8.28MB
아래는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국토교통부, 2021)에 나와있는 E0값에 대한 내용이다. 자갈이 약간 함유된 좋은 모래는 요즘 단위계로 하면 1000N (KN/㎡) 을 적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4.02_국도건설공사설계실무요령(구조물공)_2021.hwp
2.08MB
'규정및지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로본선 하 통로암거의 내진등급 (1) | 2021.10.13 |
---|---|
지중구조물 노면활하중 기준정리 (from 부자아빠) (0) | 2021.09.01 |
터널 진입차단시설 구조계산시 설하중 (1) | 2021.07.13 |
비정형 지하구조물 부력검토관련 기준 (0) | 2021.07.09 |
철근 구부림 반지름 규정 (0) | 2021.07.08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