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철근비를 고려하고 안전율이 크다고 지적하라
by ✯주철근이 많이 들어간 것 같다고 안전율이 높으니 철근을 한 치수 낮추라고 지적하는 사람들이 많으나, 정작 그렇게 줄이면 철근비에서 N.G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 지적할 만한 위치에 있는 전문가가 왜 그렇게 실수를 저지를 수 있는가 하면, 아래의 6.3.2의 (3)항목을 생각하기 때문이다.
휨보재의 최소철근량 기준에는 미달하더라도, 배근된 철근량이 필요철근량의 4/3 이상이면 되기 때문에 안전율의 숫자가 꽤 높게 보이면 철근을 줄여도 6.3.2 (3)규정에 만족할 것이라는 예측을 하게 된다. 그래서 많은 "심의위원"들이 그런 실수(지적)를 저지르고 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안전율이 1.66으로 꽤 커 보인다. 하지만 이 철근의 치수를 한단게 낮추면....
필요철근량의 4/3 = 920 > 사용철근량 794
가 되어버려서 철근비에서 N.G가 난다.
'규정및지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련암거 슬래브의 콘크리트 전단강도 (0) | 2021.06.28 |
---|---|
방음벽 설계시 참고할 풍하중 관련 규정 (0) | 2021.05.12 |
도로공사 암거 관련 기준 등 (0) | 2021.05.06 |
경험적 최대 허용지지력 산정법의 근거 (0) | 2021.04.28 |
교량 보수보강설계시 교면포장 종류? (1) | 2021.04.13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