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 내진성능평가시 철근 배근상태 수집 위치
by ✯준공도면이 있으면 좋겠지만, 준공도면이 없이 교량 내진성능평가를 실시할 때, 교대나 상부에 굳이 철근탐지기로 배근상태를 알 필요가 없다. 어짜피 교각기둥의 배근상태만 알면 된다. 굳이 상부나 교대 철탐을 대서 일만 늘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램프교의 경우, 인접한 다른 램프교량의 교각을 자세히 보면 철근피복제거후 철근을 측정한 흔적이 있을 수 있다. 이 교량과 해당과업의 교량을 비교해 보는 것도 데이터 수집에 도움이 된다.
'현장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단시 강교의 가로보와 세로보를 빼먹지 말아야 (0) | 2020.04.05 |
---|---|
재하시험 날짜 잡기 (0) | 2020.03.26 |
재하시험 교통통제안내 현수막을 보고 협박전화를 하는 인간 (0) | 2020.03.26 |
방향표시를 철저히 한 뒤 현장조사를 시작해야 (0) | 2020.01.28 |
교량신축이음(가이탑 조인트) (0) | 2020.01.03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