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진단노트

Aculvert 몇몇 기능 위치 메모

by ✯

참으로 기괴한 인터페이스이지만 대체 프로그램이 없어 아직 순항중인 Aculvert. 
몇몇 기능들 위치를 까먹는 경우가 많아 여기에 기록해 둔다.

 

상부슬래브 상재 활하중 TYPE 변경 

-> 구조계산/설계조건/하중 탭

아래의 모양으로 바꾸려면 도로설계요령(식)으로 하면 된다.

성토재 내부마찰각 변경

정지토압계수 변경을 위한 내부마찰각 변경은 구조계산/설계조건/설계조건(암거,날개벽)에서

암거-뒷채움재-내부마찰각 에서 변경하면 된다. (날개벽 뒷채움재는 따로 있다)

암거 본체의 성토재와 뒷채움재를 동일시하기 때문에 여기 하나만 수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내부마찰각을 25도로 해놔야 정지토압계수가 1-sin(Φ)=0.577으로 '상재활하중에 의한 수평하중'이 계산된다.

 

 

E0값 계산식 변경

수직 지반변형계수 E0값을 산정하는 식을 2800N으로 할거냐 700N으로 할거냐는 '당연히 설계조건에 있겠지'라는 느낌이 있는 항목들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설계선택사항에 있어야 더 자연스럽다는 생각이 든다.

기초부 설정의 메뉴 위치도 설계조건의 위치와 멀어서 작업할 때마다 이놈의 '기초부 설정'항목들 때문에 헷갈린다.

E0=2800N 식을 변경하는 것을 왜 "일반입력"에서 해야 하느냔 말이지.

한길 프로그램들의 인터페이스는 진짜 혀를 내두르게 한다.

 

강역설정

Aculvert는 새파일로 시작할 때 '강역'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 기본값이다...;;; 하....
그래서 구조계산/설계조건/설계선택사항 으로 가서 강역을 고려하는 것으로 설정을 먼저 하고 들어가는 것이 정신건강을 해치지 않을 것이다.

내진관련 설정

붕괴방지 내진2등급으로 바꾸려면 구조계산/설계조건/설계환경 에서 내진(BOX)의 내진환경으로 가서 붕괴방지수준에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내진등급을 2등급으로 변경한다.

지반종류를 Sd(단단한 토사지반)로 바꾸려면 구조계산/설계조건/설계조건(암거,날개벽) 에서 암거 기타 내진조건에서 지반종류를 변경하면 된다.
아... 진짜 비슷한 메뉴들이 산발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이런거 세팅위치 찾느라 토가 나올 지경이다.

 

추가 상재 활하중

차량 하중을 노면 활하중으로 재하하고 나서 추가적인 활하중을 입력해 줄 경우가 생기는데, 이거 위치 찾는 것이 아주 가관이었다. 

 

이렇게 상재활하중을 추가하려면?

구조계산/하중정의의로 가서 위그림에서 작은 동그라미의 하중을 활하중으로 변경하면 오른쪽 동그라미가 생기면서 추가 상재활하중을 입력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기본값 누르면 사라진다는 점이다..;;

 

하중에서 온도변화 건조수축을 빼고 싶다면

구조계산/하중조합으로 가서 설계항목선택 탭에서 빼고자 하는 하중을 언체크하면 된다.

편토압을 빼는 것은 그 오른쪽에 '편토압 적용'체크를 해제하면 가능하다.

 

지진시 성토재의 지반반력계수만 적용하려면

구조계산/검토위치 설정 으로 가서 지반정보의 내용을 싹 지워버린다.

이러면 성토재의 물성치만 지진시 토층의 물성치로 반영된다.

그럼 요렇게 나오게 된다.

성토재의 N치는 구조계산/설계조건/설계조건(암거,날개벽)에서 암거-뒷채움재-N치 에서 변경하면 된다. 

 

 

 

 

Vsi값에 Vo가 들어가냐 Vs가 들어가냐에 따라 지진시 단면력이 크게 달라진다

아래 그림에서 Vo값이 Vs보다 더 크다. Vs를 0.5Vo로 잡았으므로. (이건 기준에 따라 다르지만)

그런데 지진시 하중계산에서 고유주기 Tg가 크면 지진시 단면력이 크게 나오는데 이때 Vsi를 Vo로 잡을 것이냐 Vs로 잡을 것이냐에 따라 갈린다. 

제대로 얘기하자면 Vs = 1.0 Vo 로 잡을 것인지(철도설계편람 2004), Vs = 0.5 Vo (붕괴방지) 또는 0.8 Vo (기능수행)로 잡을 것인지다. (Vsi 는 결국 Vs라고 생각하면)

Vsi 값에 Vo가 들어간 경우 (지진시 단면력 작게 나옴)
Vsi 값에 Vs가 들어간 경우 (지진시 단면력 작게 나옴)

암거 설계시 벽체 단면력이 그나마 작게 나오게 하려면 (에잇! 암거표준도의 철근이 Aculvert에서 OK나오게 하려면) Vsi값에 1.0 Vo가 들어가게 만드는 것이 낫다. (Vo를 그대로 Vsi에 적용되게) 그러려면 아래 그림에서 설계전단파속도 적용기준을 철도설계편람2004로 수정한다.

 

이걸 뭘 선택하느냐에 따라 지진시 단면력이 확 바뀜

위 그림에서 설계전단파속도 적용기준은 기본값이 철도설계편람2007로 되어 있다. 즉 Vs = 0.5Vo, 0.8Vo가 되어 Vsi 로 들어가서 고유주기값이 커지게 되어 지진시 단면력이 크게 나온다.
Vsi 에 1.0Vo가 들어가게 해서 고유주기값을 낮춰 지진시 단면력이 작게 나오게 하려면 위 그림에서 설계전단파속도 적용기준을 철도설계편람2004로 하면 된다.

즉, 피치못하게 암거표준도2008의 철근대로 암거 철근을 배치해서 OK시키게 계산서를 만들려면 설계전단파속도 적용기준을 철도설계편람2004로 수정해야 한다.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