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진성능평가시 콘크리트의 극한변형률
by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그 응력에 비례한다(물론 어느 정도까지만). 아래 그림에서 각 곡선의 가장 꼭지점이 나타내는 것이 "극한응력"이고 그에 대응하는 변형률이 극한변형률이다. 이들 곡선은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따라 다르다. 보통 극한 변형률은 0.002~0.003 정도에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내진성능평가에서 모멘트-곡률 곡선을 만들 때 극한 변형률이 필요한데 이 때에는 내진성능평가요령에 제시한 극한변형률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여기서 실수가 잦은 편인데, 이 때문에 모멘트-곡률 곡선이 요상하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진단업체에서 기존 토목구조설계하는 "숙달되지 않은" 인원들에게 외주를 맡기다 보면 자주 생기는 오류이다.
'구조계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효수평지반가속도? 유효수평지반가속도계수? (0) | 2020.10.13 |
---|---|
쉘 해석, 경계조건을 놓치지 말아야 (0) | 2020.09.29 |
내진성능평가 보고서에 NL LINK 언급? (1) | 2020.08.30 |
교량 접속슬래브 계산 및 도면 참고 (0) | 2020.07.26 |
강재 재료물성치 Fye와 Fue (0) | 2020.07.18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