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진단노트

교량 배수관 길이 관련 자료

by ✯

교량 점검시 흔히 나오는 지적사항 중의 하나가 '배수관 길이 부족'이다.

아래 사진은 그 전형적인 예이다. 배수관에 인접한 거더가 있는데도 거더 상부 플랜지 정도에서 배수관이 끝나버렸다.

거더 하단 밑으로 20cm~30cm 정도 더 밑으로 뽑아내려야 된다는 근거가 의외로 잘 보이지 않는다.

도로공사 설계지침에는 몇개 보이는데 국토부 기준으로는 아직 찾지 못하였다.

 

아래는 누가 간략하게 어디서 보고 정리한 듯한 자료인데 괜찮아서 백업해 둔다.

교량배수시설설계지침정리(국토해양부).pdf
0.11MB

 

그리고 '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 (2020)' 자료를 백업한다. 그런데 여기엔 거더 하부 얼마까지 배수관을 설치하라는 내용은 없다.

도로+배수시설+설계+및+관리지침+2020.z01
19.53MB
도로+배수시설+설계+및+관리지침+2020.zip
6.33MB

 

그리고 도로설계요령(2020) 제3권 교량편 교면배수장치 자료를 백업한다.

2020_도로설계요령_제3권 교량_8-5편 교량 부대시설물_7.교면배수장치.pdf
2.89MB

 

이 문서에는 문제가 하나 있는데, 거더와 바닥판의 개념을 따로이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아래 그림을 보면 그림은 바닥판에서 20cm를 뽑으라고 해놓고 설명은 거더 하단부에서 20cm이상 뽑으라고 되어있다....;;

2020년 자료인데도 과거 자료보다 못하다니...;;

 

 

2012년 고속도로 설계 실무자료집에 있는 내용 중 일부이다. 

여기에 있는 삽입그림을 보면 거더에 인접한 (하천용)배수관은 최소한 거더하단 밑으로 내리게 그려져 있다.

개념은 거더에 물이 가지 않게 처리해야 한다는 점 정도를 이해하면 될 것 같다.

EDGCODA00887.PDF
0.66MB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