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등급::가급 나급 다급 VS 특급 고급 중급 초급
by ✯안전진단전문기관 실태점검시 기술인력 등급이 가급, 나급, 다급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일반 행정업무에 사용하는 기술등급인 특급,고급,중급,초급 과 결이 달라서 실무를 하는데에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진단기관의 소속지자체에서 관리를 위한 구분으로 '가~다급'을 이용하고 있다.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아래의 표에서 1)을 가급, 2)를 나급, 3)을 다급으로 본다는 얘기다.
특급 이상은 가급, 중급이상은 나급, 초급이상은 다급 으로 친다.
이 개념은 실제 기술등급과는 달리 관리를 위한 개념으로 "1대1 대응"이 아니다.
즉 특급=가급, 중급~고급=나급 이런식이 아니란 얘기다.
예를 들어 건축시공 특급인데도 나급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가,나,다급은 사실상 지자체 등록이나 실태점검에만 사용되는 개념이다.
회사의 특급~초급 기술자들을 가,나,다급에 잘 배치해서 실태점검을 제대로 받기 위해 정리해 두는 것이다.
아래의 등록기준에 나오는 숫자에 가,나,다급 인원을 맞추야 하는데
예를 들어 종합분야 안전진단전문기관의 기술인력은
가급이 8명이상, 나급이 11명 이상, 다급이 11명 이상 이어야 한다.
아래 표에서
나.1) 이 가급으로 인정되고
나.1) 과 나.2) 가 나급으로 인정될 수 있고
나.1) 과 나.2) 와 나.3) 이 다급으로 인정될 수 있다.
반복하지만 1:1대응이 아니다. 가,나,다는 나.1)~3)을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아래 표의 숫자에 맞추기 위해 배치하는 것이다.
'행정및내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드칠 필요없는 보고용 보드현황판? (0) | 2025.01.14 |
---|---|
보수보강 우선 순위 결정을 위한 자료 (0) | 2025.01.13 |
진단기관 장비/기술인 변경 등록 절차 (0) | 2024.12.17 |
진단용역 과업지시서 문제 :: 시험결과를 공문으로 제출? (0) | 2024.12.13 |
교량 정밀안전진단 재하시험 하도급 (0) | 2024.12.03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