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 표기변경(2018) 요약
by ✯2018년에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 강재) 및 KS D 3515 (용접구조용 압연 강재) , KS D 3861 (건축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866 (건축 구조용 열간 압연 형강 - 내진용) 기준이 개정되어 그전에 쓰던 강재의 표기가 바뀌었다.
이전에는 인장강도 기준으로 표기하던 것이 항복강도 표기로 바뀐 것이다.
주요 개정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종류의 기호 : 종류의 기호를 인장 강도 기준에서 항복 강도 기준으로 개정
2. 종래 기호를 (괄호)로 표기하여 참고 표기
3. 항복점 550 N/m㎡ 이상, 인장강도 690 N/m㎡ 이상인 SS550을 추가
4. SS550에 대한 화학성분, 기계적 성질을 규정
5. 화학성분 : SS235, SS275, SS315의 탄소(C), 규소(Si), 망간(Mn)을 규정하여 개정
6. 화학성분 : 합금원소를 첨가할 수 있으나, KS D 0041에 규정한 합금강의 합금원소 이하로 첨가하도록 규정
7. 기계적 성질 :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를 상향시키고, 연신율을 변경하여 규정
8. 두께 100mm를 초과하는 강판의 4호 시험 편의 연신율은 두께 25.0mm 또는 그 끝자리 수를 늘릴 때마다 연신율 값에서 1%를 감하도록 함. 다만, 감하는 한도는 3%로 한다.
9. 표시 : 열간 압연 H 형강의 롤링 마크는 3.5m 이하의 간격으로 변경하여 규정
10. 부속서 A의 시험편 채취 위치는 형강의 경우 40mm 초과하여 4호 시험 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면에서 두께의 1/4위치에 시험 편의 중심이 되도록 규정
2018년 이전에 편찬된 서적들이 업데이트가 안되는 경우가 많아
역으로 현재 표기법에 의한 강재가 이전에 어떤 표기였는지 찾아보는 일이 잦아지고 있어서
이 포스팅에 정리해 본다.
1. KS D 3503 (일반구조용 압연 강재)
ks-gang-jae-gae-jeong2018--gang-jon1660617104.jpg
0.32MB
2. KS D 3515 (용접구조용 압연 강재)
3. 자주 쓰는 강재 변경 전후 표기 비교
'규정및지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물기초설계기준 통합국가코드와 별개로 적용가능 (0) | 2023.07.14 |
---|---|
2022년 개정 '기존 시설물 내진성능 향상요령' (0) | 2023.07.10 |
지붕틀::지붕틀의 범위란 (0) | 2023.05.31 |
휨 부재 최소철근량 기준 2022 변경점 정리 (0) | 2023.05.25 |
2022년 변경 풍하중 기준 (0) | 2023.05.18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