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진에서 취약한 고력황동받침
by ✯도로공사에서도 고력황동받침을 탄성받침으로 교체해 온 모양.
고속국도 교량 내진성능보강 점검.pdf
4.58MB
★경영고시(감사원 교량 내진성능점검 관련).hwp
0.02MB
고력황동받침은 교축방향일방향 받침과 고정단 받침을 구분하기가 힘들다. 현장에서 받침의 외관으로 이것이 고정단인지 일방향인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는 뜻이다.
'설계변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성형 라멘교의 최소 형고 (0) | 2020.06.26 |
---|---|
라멘교와 합성형라멘교의 형고비 (0) | 2020.06.22 |
교량의 유효폭 (0) | 2020.05.27 |
장대교량의 정의 (0) | 2020.05.27 |
교각에서 fck 27MPa를 쓰기 시작한 시기 (0) | 2019.12.12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