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중조합을 이용한 하중케이스 생성' 남용
by ✯Midas에서 비선형 경계조건 등을 사용할 때,
하중조합기능을 쓰지 못하기 때문에 '하중조합을 이용한 하중케이스 생성(Create Load Cases Using Load Combinations)' 기능을 이용해서 하중케이스를 생성해야 한다.
하지만 이는 오로지 '하중'에 대한 것이다.
무슨 말이냐면 위 이미지에서 하중 말고 경계조건 같은 것이 전혀 없다.
비선형 경계조건이 있을 때 (압축전담 스프링 등) 어쩔 수 없이 CLSULC 기능을 쓰는 것이지
특정 하중조합때에 빼야하는 경계조건이 있다면 CLSULC 기능을 쓸 필요가 없다.
가장 전형적인 예가 양압력인 경우다.
하부 슬래브 전 면적에 대해 등분포 point 스프링(선형) 경계조건을 만들어 놓고
굳이 CLSULC 기능으로 하중케이스를 만들어 불필요하게 어렵게 해석을 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뭐, 비선형 요소가 있던 없던 이렇게 하면 한가지로만 통일해서 익히면 되니까 그게 편해서일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정작 양압력을 받을 경우를 생각하면 아래와 같이 외곽 절점들이나 모서리 쪽에 고정을 시켜두고 나머지 바닥슬래브 면의 point spring은 없어지거나 아니면 comp-only로 해놔야 하는데 그런 작업은 안하면서 CLSULC 기능을 남발하는 경우는 도대체 무엇을 위해 CLSULC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구조계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처리시설의 기계하중은 고정하중인가 활하중인가 (0) | 2022.06.15 |
---|---|
전단철근 다리 수 계산 참고 (0) | 2022.06.11 |
구조해석 모델링을 상시/지진시로 나눠야 하는 이유 (0) | 2022.06.02 |
관매달기 구조계산의 잘못된 예 (4) | 2022.05.10 |
시스템비계 사재의 방향을 고려한 수평하중 재하 (0) | 2022.05.02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