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속슬래브에 fck 35 콘크리트 적용?
by ✯예전엔 교량 접속슬래브 설계시 fck=24Mpa로 설계했었는데, 지금은 그놈의 '한계상태설계법적용 도로교설계기준'때문에 접속슬래브 fck를 35Mpa까지 봐줘야 하는 지경까지 왔다.
아래는 국도의 한 교량(PSC BEAM)을 설계한 사례를 찾아본 것인데, 실시설계 보고서에 아래와 같은 노출등급을 적용했었다.
접속슬래브에서 염화물에 의한 부식 노출등급을 ED3으로 본 것이 인상적이다. 즉 fck=35MPa를 쓰는 명분을 ED3, 염화물을 함유한 물보라에 노출된 교량 부위 로 접속슬래브를 보겠다는 것이다.
나는 접속슬래브를 ED3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고 ED2 로 봐야한다고 생각한다. (fck=30MPa) 겨울철 염화칼슘이 봄에 녹아서, 불투수층일 터였던 아스콘의 균열을 뚫고 보조기층을 통과해서 접속슬래브에 닿을 수는 있겠으나, 이게 무슨 바가지로 물을 뿌리듯이 묻지는 않을 것이니 말이다.
노출등급은 설계시 발주처와 협의하는 사항이기 때문에 발주처와 협의가 되면 굳이 ED3을 적용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염화물에 직접 노출이 되지 않는다고 보고 EC2에 의해 지배된다고 볼 수도 있다. 실제로 그렇게 설계한 경우도 제법 많았다. EC2이면 최소 fck 24Mpa를 맞춰야 하기 때문에 보통 fck 27MPa면 족하다.
'규정및지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검진단과업시 사용하는 교량형식 약호 (0) | 2021.11.14 |
---|---|
이걸 기준이라고 만들었나? [도로교설계기준2016] (0) | 2021.11.11 |
강도설계법 하중조합 (도로교 설계기준, 2010) (0) | 2021.10.27 |
반토압(전설계토압의 1/2)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0) | 2021.10.25 |
손해배상보험료는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 (0) | 2021.10.20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