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진단노트

보수보강 도면에 손상도를 넣지마라

by ✯

보수보강 설계과업에 도면 좀 많아 보이게 하려고
이전 진단이나 점검 때 작성한 손상도를 집어넣고 다시

그 손상도를 수정해서 작성한 보수보강도면을 집어넣으면

곤혹스러운 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지양하는 것이 좋다.

 

진단 점검 과업결과 손상도와 보고서 그리고 손상물량 이 세가지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떤 진단결과 손상도에는 A라는 손상이 표기되어 있고, 손상물량에도 잡혀있지만 보고서에는 '교량연식이나 중요도를 감안했을 때 A손상을 복구하는 것은 현재 용도 대비 편익을 고려할 때 과다한 수준으로 추정된다' 라고 앞뒤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것을 일일히 확인할 자신이 있다면 보수보강 실시설계 도면에 기존 진단점검과업 때의 손상도를 집어넣어도 좋다.

 

하지만, 이전 진단점검과업의 퀄리티를 자신할 수 없다면

굳이 손상도를 보수보강도면에 포함시킬 필요는 없다.

 

경험적으로 보면

 

일만 커진다.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