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보강 도면에 손상도를 넣지마라
by ✯보수보강 설계과업에 도면 좀 많아 보이게 하려고
이전 진단이나 점검 때 작성한 손상도를 집어넣고 다시
그 손상도를 수정해서 작성한 보수보강도면을 집어넣으면
곤혹스러운 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지양하는 것이 좋다.
진단 점검 과업결과 손상도와 보고서 그리고 손상물량 이 세가지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떤 진단결과 손상도에는 A라는 손상이 표기되어 있고, 손상물량에도 잡혀있지만 보고서에는 '교량연식이나 중요도를 감안했을 때 A손상을 복구하는 것은 현재 용도 대비 편익을 고려할 때 과다한 수준으로 추정된다' 라고 앞뒤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것을 일일히 확인할 자신이 있다면 보수보강 실시설계 도면에 기존 진단점검과업 때의 손상도를 집어넣어도 좋다.
하지만, 이전 진단점검과업의 퀄리티를 자신할 수 없다면
굳이 손상도를 보수보강도면에 포함시킬 필요는 없다.
경험적으로 보면
일만 커진다.
'행정및내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개발과업에서 원가조사보고서 외주내보낼때 주의할 점 (0) | 2021.09.29 |
---|---|
종합공사 5종, 전문공사 29종 종류 (0) | 2021.06.08 |
보수보강으로 발주해놓고 교량설계를 시켜? (0) | 2021.04.06 |
균열폭 0.3mm미만 보수물량 산출시 폭은 얼마로? (0) | 2021.03.03 |
열심히 서비스해서 나중에 수의계약을 따겠다? (0) | 2021.02.23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