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진단노트

암거 지지력 검토시 접속슬래브 하중추가?

by ✯

암거 지지력 검토시 내부 차량하중은 Aculvert 옵션에서 지원한다.  (구조계산/검토위치설정)
그런데 간혹 접속슬래브의 하중도 고려해야 하지 않냐 라는 의견이 있다.

실제로 가끔 심의위원이 지적하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접속슬래브 하중을 지지력 검토에 반영하는 옵션은 Aculvert에 없기 때문에 결국 수작업으로 Aculvert에서 생성된 계산서를 수정해야 한다.

한 쪽당 접속슬래브의 하중의 절반을 받는다고 치고 양쪽 접속슬래브의 하중에 같은 경우, 위와 같이 접속슬래브 한 쪽의 하중만 태워주면 된다.

 

이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수정한 Qmax값을 계산서 엑셀의 앞쪽 쉬트인 '해석결과요약'쉬트에도 변경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접속슬래브 하중을 안정검토에 추가해 주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일 수는 있으나, 도로설계요령(토공 및 배수 - 암거편, 2020, 한국도로공사) 등에는 암거의 안정,지지력 검토시 고려해야 할 하중 중에 접속슬래브는 없고, 암거표준도(2008, 국토해양부) 계산에도 마찬가지로 기초 지지력 산정식에 접속슬래브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기준만 따지면 암거의 안정 및 지지력 검토에 접속슬래브를 포함시켜야 하는 기준은 없는 셈이 된다.

하지만 접속슬래브 하중을 지지력 검토에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 비합리적인 것은 아니다.

(이런 지적은 다분히 '공격성 지적'이고 '내가 이렇게 허를 잘 찌른다. 맛좀봐라'라는 의도라고 생각한다. 만약 이런 지적에 대응할 경우에는 기준에 의거한 방향으로 대응하는 것이 유효할 것이다.)

 

따라서 이건 어떻게 설계자가 받아들이느냐의 문제인 것 같다.

 

 

※ 안정 및 지지력 검토시 접속슬래브 하중을 추가한다고 하더라도, 접속슬래브 위에 있는 토피하중이나 차량활하중을 추가로 반영해서는 안된다. 암거 계산시 활하중 산정 때 이용하는 표가 암거 위의 본선도로가 쭈욱 있다고 가정하고 만든 활하중 표이기 때문이다. 

 

※ 그리고, 어떤 합리적인 지적사항이 있다하더라도 그 내용이 현재 기준에 반영되어 있지 않다면 설계자는 기준을 근거로 대응할 수 있다. 접속슬래브도 마찬가지다. 

지지력 산정식을 보면 접속슬래브가 들어갈 항은 없다.  접속슬래브는 상부슬래브에 작용하는 하중이 아니기 때문이다.

굳이 대응하자면 이렇다는 거.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