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용직과 프리랜서의 차이
by ✯일용직과 프리랜서(인적용역)가 혼용되는 경우가 많아 그 차이를 정리한 게시글을 찾아 백업한다. 원문은 여기 참고.
일용직과 인적용역(프리랜서)의 차이 설명
답변
일용직과 프리랜서(인적용역)는 고용 형태와 법적 지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일용직
고용 관계: 하루 단위 또는 1개월 미만의 근로 계약을 체결하며, 고용주와 종속적인 관계에 있음.
소득 처리: 원천징수로 세금이 처리되며,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가 없음.
4대보험: 일정 조건 충족 시 고용보험, 산재보험 의무 가입.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근로 시간에 따라 적용.
법적 보호: 근로기준법 적용, 퇴직금 및 실업급여 수령 가능.
프리랜서
고용 관계: 독립적인 계약 관계로, 특정 조직에 소속되지 않음. 주로 외주나 하청 형태로 용역 제공.
소득 처리: 사업소득으로 3.3% 원천징수 후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4대보험: 직장가입자가 아닌 지역가입자로 보험료 전액 부담. 실업급여 및 퇴직금 혜택 없음.
법적 보호: 근로기준법 적용 제외.
일용직과 프리랜서의 세금 차이는 무엇인가요
일용직과 프리랜서의 세금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용직
원천징수율: 약 0.9%로 소득세가 원천징수되며, 납세 의무는 급여 지급 시 종결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가 없으며, 연말정산 대상도 아닙니다.
기타: 고용주가 세금을 신고하며, 근로소득으로 분류됩니다.
프리랜서
원천징수율: 3.3%로 사업소득세가 원천징수됩니다.
종합소득세: 다음 해 5월에 반드시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하며, 다른 소득과 합산됩니다.
기타: 사업소득으로 분류되며, 필요 경비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일용직은 세금 처리가 간단하고 신고 의무가 없지만, 프리랜서는 높은 원천징수율과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가 있습니다.
인적용역(프리랜서) 대금 처리시 주의할 사항
회사는 프리랜서에게 일을 주고 대금은 원천세 3.3%를 제외하고 지급한다.
그리고 회사는 프리랜서에 대한 원천세를 납부할 때 근거서류를 첨부해야 하는데 보통 회사-프리랜서 간의 계약서, 작업완료 후 완료확인증(회사 담당자의 확인이 들어간) 등을 활용하면 된다.
계약서는 '프리랜서 계약서' 또는 '프리랜서 고용계약서' 등으로 시작하는 양식을 보통 이용한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성봉함재::신축이음이 아니다 (1) | 2025.03.24 |
---|---|
합성형라멘교::유지관리가 어렵다 (0) | 2025.03.24 |
24년 하반기 내진성능평가 기술교육 자료 (0) | 2024.11.29 |
해상/수중 구조물 시공 및 유지관리 자료 (0) | 2024.11.29 |
GFRP 보강근 잠정 설계·시공지침 제정 [한국도로공사] (2) | 2024.11.08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