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AS]동해석시 Tension-Only를 쓸 수 없다
by ✯Midas Gen으로 건축물 모델링을 할 때, 특히 철골건축물일 때 사재(브레이싱)를 Tension-Only 요소로 구현하는 경우가 많다.
정적해석을 할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고유치나 응답스펙트럼 해석 시에는 Tension-Only를 사용하면 안된다.
Midas의 Static Loads / Seismic Load 기능은 등가정적해석법으로 지진력을 산정하는 것으로 Tension-Only를 사용할 수 있다.
내진설계범주와 건물규모 등에 따라 내진해석을 등가정적해석으로 해도 되는 경우가 있고 동해석으로 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Tension-Only 요소를 써서 모델링을 하기 전에 등가정적해석/응답스펙트럼해석 중 어떤 방법으로 내진해석을 할 것인지부터 결정하는 것이 좋다.
여러 사례를 접해본 결과, 실무적으로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고 내진해석을 수행한 경우가 제법 있는 편이었다.
아래는 이에 대한 마이다스 기술서비스 관련내용이다. Midas Civil 의 기술서비스 내용이지만 Gen에서도 참고해야 할 내용이라 메모해둔다.
[질문]
고유치, 응답스펙트럼, 시간이력해석에 사용 가능한 요소와 경계조건은 무엇이 있습니까?
[답변]
고유치해석, 응답스펙트럼해석,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할 때에 사용 가능한 요소와 경계조건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고유치해석 / 응답스펙트럼해석
1) 요소 : Tension only/Hook/Cable, Compression only/Gap 요소는 Truss 요소로 치환하여 해석
2) 경계조건 : General Link와 Tension only/Compression only Elastic Link는 Elastic Link의 General Type으로 치환하여 해석
2. 선형 시간이력해석
1) 요소 : 고유치해석 / 응답스펙트럼해석 시와 동일
2) 경계조건 : General Link의 Force Type과 Tension only/Compression only Elastic Link는 Elastic Link의 General Type으로 치환하여 해석
3. 비선형 시간이력해석
1) 요소 : 고유치해석 / 응답스펙트럼해석 시와 동일
2) 경계조건 : Tension only/Compression only Elastic Link는 Elastic Link의 General Type으로 치환하여 해석
* 참고로 고유치해석과 시간이력해석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시간이력해석 방법을 Modal(모드중첩법)로 선택할 경우에는 고유치해석을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 시간이력해석의 Damping Method가 Modal 또는 Strain Energy Proportional일 경우에는 고유치해석을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구조계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내진기준에 따른 밑면전단력 산정 예 (0) | 2024.04.03 |
---|---|
건축구조 슬래브 모델링을 안해도된다?하면안된다? (0) | 2023.08.25 |
MIDAS블로그::지반반력계수의 의미와 산정방법 (1) | 2023.07.18 |
Midas :: 슬래브의 단면력 산출시 유의점 (0) | 2023.07.13 |
말뚝 모델링을 위한 스프링계수 산정 (0) | 2023.07.13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