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진단노트

강재 허용휨압축응력 산정시 참고사항

by ✯

강재의 휨압축응력을 검토할 때 아래의 표를 이용하게 된다. (도로교설계기준 2010)

 

1. 강교 처럼 콘크리트 바닥판에 주형의 압축플랜지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등등 횡좌굴이 일어나기 어려운 경우

여기서 횡좌굴은 부재 양단끝을 빨래 짜듯이 비트는 것을 말함.

 

2. 그 이외의 경우

 

 

여기서 l = 압축플랜지의 고정점간 거리 라는 개념이 상당히 모호하다.

 

이게 무슨 뜻인지 알려면 해설편을 봐야 한다. (도로교 설계기준 해설 2008)

 

 

여기서 l 은 고정점 간 거리인데 주거더를 기준으로 설계중이라면 가로보나 브레이싱이 만나는 점 사이의 순수 주거더 거리를 사용한다는 뜻이다. 가로보가 2m 간격이라면 주거더 설계시 l = 2m로 사용해서 허용휨압축응력 식으로 구하면 된다.

 

l / b 의 최대치가 규정되어 있는데 이는 허용휨압축응력이 터무니없이 작게 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라고 나와있다.

따라서 아래그림의 뜻은 l / b 가 30이 넘으면 30을 l / b 로 사용해서 식으로 산출한다는 뜻이다.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