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진단노트

진단시 재하시험의 충격계수 관련

by ✯

현장에서 재하시험을 한 결과를 정리할 때 충격계수 계산시 상당히 예민해 지곤 한다.
예를 들면, 설계충격계수가 0.29가 나왔으니 재하시험의 모든 케이스에 대한 충격계수의 최대값이 0.29보다 작아야 하는데... 하는 압박 때문에 가슴 졸인 적이 많다. 

대부분의 경우 모든 케이스에 대해 측정된 충격계수는 설계충격계수보다 작아야 한다.

 

그런데 재하시험에 대해 잘 모르는 영세업체들이 측정장비 관리 및 관련 프로그램 숙달부족으로 엉터리 결과를 내놓는 경우가 너무나 많다.

 

아래는 아주 잘나온 케이스 중 하나.

그리고 아래는 관련 연구자료 중 하나이다.

kosdi-2020-016-04-2.pdf
0.68MB

이에 비해 상당히 문제들이 보이는 케이스는 아래와 같다.

충격계수가 무려 10.0을 넘는 대환장파티!!

위 사례를 보면 차마 10.0을 넘는 충격계수를 기재하지 못하고 '-'라고 표현하는 것을 보면 정말 충격적인 충격계수가 아닐 수 없다. 아마 캘리브레이션을 잡을 당시에 뭔가 장비에 돌발상황이 발생한 것이 아닌가 싶다.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