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탄성계수 산출시 단위질량 mc
by ✯콘크리트 탄성계수를 구할 때, 콘크리트 단위질량 mc는 '철근콘크리트'의 mc인가 '콘크리트'의 mc인가에 대해 헷갈릴 때가 많아서 정리해 둔다.
구조물 모델링을 할 때 재료는 콘크리트의 물성치를 만들어 두고 해당 요소에 그 물성치를 적용한다.
그런데 그 탄성계수 대로 구조해석이 돌아가는데 왜 철근콘크리트의 mc로 구한 탄성계수가 아니라 그냥 콘크리트의 mc로 구한 탄성계수를 사용하는 지 자주 헷갈린다.
일반적으로 fck 27짜리 보통 콘크리트일 경우 mc=2350kg/m3 으로 들어간 탄성계수를 주로 사용한다.
mc는 "콘크리트의 단위질량"이라고 기준에 써 있으니까.
'구조계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에서 64비트 VB매크로 오류문제 (0) | 2021.04.27 |
---|---|
지반의 프아송비(프와송비) 얼마로 넣어야 하나 (0) | 2021.03.29 |
하수처리장 50톤 구조계산서 백업 (0) | 2021.03.04 |
응답변위법에 의한 지진하중 참고자료 (1) | 2021.01.12 |
심도가 깊어질수록 지진하중은 증가하나? (1) | 2021.01.12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