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진단노트

세굴조사에서의 '하상변동조사'의 의미

by ✯

2025년 2월에 국토부/국토안전관리원에서 배포한 '고위험 하천횡단교량 세굴조사 가이드라인'에서 '하상변동조사'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2025년 2월에 가이드라인이 나오고 같은 시기에 전국 662개 교량에 대해 각 관리주체에게 돌아오는 우기 전에 세굴조사를 완료하라는 공문을 보냈다고 한다.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2025년 2월 21일)에는 전국에서 662개 교량에 대한 세굴조사가 막 시작되는 시기이다.

 

최초 세굴조사의 하상변동조사에서 중요한 점은

'지속관리가 가능한 고정점'을 판단해서 설치하는 것이다.

 

처음에 특정 고정점을 기준으로 각 위치에서의 수심(하상의 깊이)을 측정하여 기록하는데

첫 세굴조사에서는 전회차의 수심 기록이 없으므로

 

지속관리가 가능한 특정 고정점을 선정하고

그 고정점을 기준으로 각 위치별 하상의 깊이를 기록

만 하면 된다.

 

그 다음 세굴조사부터는 전회차 하상의 깊이와 비교 분석하는 과정이 들어가게 될 것이다.

 

 

하상변동조사라고 하니까

수자원/하천 분야의 자료를 총 동원하여 교량 인근의 하천 하상변동조사를 말하는 것인지 혼동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블로그의 프로필 사진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