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파일의 최소간격 산정시 D의 정체
by ✯마이크로파일의 지지력을 계산하던 도중, 마이크로파일의 연단거리와 최소간격을 구할 때 직경 D는
① 강봉의 직경 ② 고결체의 직경 ③ 케이싱의 외경
중 어떤 것이냐 에 대한 논란이 갑자기 들불처럼 일어나서 여기저기 알아보게 되었다.
아직 마이크로파일 관련 규정이 없기 때문에 이를 알아내는 것이 곤란했다.
그래서 마이크로파일 설계 및 시공을 주로 하는 어떤 업체에 문의를 해보았더니
'③ 케이싱의 외경'으로 D를 산정하여 말뚝중심간 거리를 구한다고 했다. (개인적으로는 숫자가 떨어지는 '고결체의 외경'으로 구하는 게 합리적인 것 같았다. 아래에 설명하지만 어짜피 '경험적 최소간격'에 모자라서 의미없게 됨...)
그리고 그렇게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을 들었는데
'① 강봉의 직경' 을 D로 잡고 말뚝간격을 구한다면 그 간격이 너무 작아 실제 시공할 때 1번공 보링후 2번공 보링할 때 1번보링공과 만나버릴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너무 가깝기 때문에 지면에서는 떨어져 있어도 보링을 해 들어가면서 주변 공과 만날 수 있으니 최소 800mm 이상은 띄우는 것이 보통이라고 얘기했다.
예를 들어 강봉 65mm 에 케이싱 외경 216mm 짜리를 쓴다고 하면
최소중심간격은 2.5 D = 2.5 * 216 = 540 mm 가 되지만 경험적 최소간격 800 mm 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는 것이다.
미국 연방고속도로관리국 FHWA 에서 제정한 마이크로파일 관련 기준이 웹 상에 올라와 있어 참고한다. (실제 원본 파일인지는 알 수 없었으므로 참고로만 활용할 수 있겠다.)
'설계변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 간편식 (0) | 2024.09.23 |
---|---|
직접기초 지지력 및 침하량 평가방법 (0) | 2024.04.29 |
플랜트 구조물 플랫폼 재하 하중 사례 모음 (0) | 2024.04.11 |
박스형 교량 & 라멘교 (0) | 2023.11.16 |
Schmertmann & Hartman의 변형영향계수 (2) | 2023.11.09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