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진단노트

크레인 접지압 계산시 참고할 항목

by ✯

크레인 아웃트리거 접지압 계산시,

 

선회를 고려할 때, 45도로 작업할 경우는

로 하는 것이 '이동식 크레인 양중작업의 안정성 검토 지침(2015.1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나와있다.

 

그럼 0도와 90도 (전후방, 측방) 작업시는...?

 

우선 45도의 0.85 와 1.5 라는 계수부터 살펴봐야 하는데

 

아래는 아나고 블로그에 나온 내용이다. (지침에도 나와있다)

 

45도일 때는 0.85와 1.5계수가 이렇게 들어간다.

 

1.5라는 계수는 "선회를 고려한" 계수이다.

즉, 정적인 상태라면 저 위 그림에서 15%와 70%로 고정이겠지만

거기다가 추가적으로 선회라는 개념을 적용시켰을 때

큰 쪽에 150%, 작은 쪽에 50%을 "추가적으로" 적용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선회를 고려한" 0도와 90도(전후방, 측방) 작업시에는 저 0.85와 1.5 라는 계수 중에 0.85라는 계수만 바꾸면 된다.

 

전후방,측방시에는 0.4+0.4=0.8 이 되어야 함

0.85 는 0.8 로 바뀌면

 

이 된다.

 

결국, 전후방측방의 경우와 45도의 경우의 최대 접지압 공식은

첫번째 계수가 0.8 이냐 0.85 냐의 차이가 되기 때문에

크게 차이가 나지 않게 된다...;;

 

 

아래는 크레인 아웃트리거 및 지내력 검토 계산 예제로, 비공개자료이다.

크레인아웃트리거및지내력검토.zip
2.68MB
샘플.zip
1.93MB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