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인 접지압 계산시 참고할 항목
by ✯크레인 아웃트리거 접지압 계산시,
선회를 고려할 때, 45도로 작업할 경우는
로 하는 것이 '이동식 크레인 양중작업의 안정성 검토 지침(2015.1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나와있다.
그럼 0도와 90도 (전후방, 측방) 작업시는...?
우선 45도의 0.85 와 1.5 라는 계수부터 살펴봐야 하는데
아래는 아나고 블로그에 나온 내용이다. (지침에도 나와있다)
1.5라는 계수는 "선회를 고려한" 계수이다.
즉, 정적인 상태라면 저 위 그림에서 15%와 70%로 고정이겠지만
거기다가 추가적으로 선회라는 개념을 적용시켰을 때
큰 쪽에 150%, 작은 쪽에 50%을 "추가적으로" 적용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선회를 고려한" 0도와 90도(전후방, 측방) 작업시에는 저 0.85와 1.5 라는 계수 중에 0.85라는 계수만 바꾸면 된다.
0.85 는 0.8 로 바뀌면
이 된다.
결국, 전후방측방의 경우와 45도의 경우의 최대 접지압 공식은
첫번째 계수가 0.8 이냐 0.85 냐의 차이가 되기 때문에
크게 차이가 나지 않게 된다...;;
아래는 크레인 아웃트리거 및 지내력 검토 계산 예제로, 비공개자료이다.
'규정및지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구조기준::자주 바뀌는 '기준'? (0) | 2023.01.29 |
---|---|
구조물 기초 침하량 허용기준 (1) | 2023.01.27 |
가설시 크레인 관련 하중 기준들 (1) | 2023.01.25 |
건축구조 풍하중 기준개정(2021)의 기대효과 요약 (0) | 2023.01.11 |
가시설관련 규정모음 (2) | 2022.12.28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