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력황동받침의 받침배치
by ✯어느 지점의 전체 교량받침이 모두 고정단으로 들어가고 나머지는 교축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를 발견하더라도 당황하지 않아야 한다. 고력황동받침은 이렇게들 많이 배치했었던 것 같다. 이러니 내진에 취약한 받침으로 낙인이 찍혀버린 건가.
이전 글에서도 적었지만 고정단과 일방향 고력황동받침의 외관은 거의 같다. 생산업체마다 차이는 있을지 모르지만 현장에서 보게 되는 고력황동받침들은 어떤 것이 고정단인지 알기가 상당히 어려웠다.
'현장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NB 조인트 신축이음 유간재기 (0) | 2020.05.27 |
---|---|
뉴모노셀과 모노셀 조인트의 차이 (0) | 2020.05.25 |
스틸박스 내부 조사시 전경부터 촬영 (0) | 2020.04.17 |
진단시 강교의 가로보와 세로보를 빼먹지 말아야 (0) | 2020.04.05 |
재하시험 날짜 잡기 (0) | 2020.03.26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