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보강설계용역을 잘 안하려고 하는 이유
by ✯XX지방국토관리청에서 발주한 XX교량 보수공사 실시설계용역 입찰이 있었다.
500m 이상 교량 또는 특수교 설계경력이 720일 이상인 사업책임기술자가 있는 업체로 제한이 있었지만, 왠만한 토목설계회사들은 그 정도 기술인들은 다 보유하고 있었고
지역제한도 없어서 전국에서 입찰을 들어올 수 있었는데도
겨우 16개 업체만 참여했다.
알만한 회사들 대부분이 이런 보수보강용역에 입찰하지 않는다.
이유는 순수하게 '보수보강을 설계하는' 용역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걸 모르는 용역업체들이 멋모르고 들어가서 용역기간동안 다른 과업은 손도 못댈 정도로 휘둘리다가 온갖 내역, 행정, 잡무 + 엉뚱한 지시사항에 시간만 다 보내고 끝이 난다.
업체 대표 입장에서는
해당부서가 저 과업기간동안 다른 업무를 하지 않아도 된다면 그 입찰에 들어가도 되지만
그러지 않은데 저 용역에 들어갔다간 퇴사자가 속출할 거라는 것 정도는 알아야 하겠다.
'행정및내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설사무실의 주차장::주차장법 적용 여부 (0) | 2022.10.11 |
---|---|
표준품셈의 위험할증률을 견적단가에 적용? (0) | 2022.10.11 |
관매달기, 의외의 문제때문에 불가할 수도 (0) | 2022.03.15 |
엉터리 내하력평가가 만연한 수의계약 (0) | 2022.03.04 |
양아치짓하는 발주처 (0) | 2021.12.01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