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ulvert::공동구설계기준의 활하중 지원안됨
by ✯Aculvert로 공동구를 설계할 때, 노면활하중 부분에서 항상 고생을 한다.
Aculvert가 공동구설계기준의 노면활하중 기준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의 노면활하중 기준과 같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Aculvert는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의 노면활하중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수동입력으로 고쳐줄 순 있다. 하지만 그 고쳐줘야 할 게 상당히 많고 (활하중, 활하중에 따른 측압, 지진시 활하중, 지진시 활하중에 따른 측압 등등)
다른 부분의 변경되어 하중정의를 새로고침(기본값 클릭)해줘야 할 때마다 새로 활하중을 입력해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기 때문에 상당히 불편하다.
상기 규정은 아까도 언급했지만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2021), 및 공동구 설계기준(2021)에 해당하는 것이다.
Aculvert에서는 설계조건/하중 에서 도로설계요령(표)를 선택하면
D/Bo가 0.5 이상일 경우에만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2021), 공동구설계기준(2021)의 표와 같은 노면활하중 표가 반영된다.
그러나 D/Bo가 0.5 보다 작을 경우
Aculvert에서 튀어나오는 '도로설계요령(표)'의 노면활하중 표는 이러하다.
이렇게 다르다 보니 Aculvert의 프리셋을 사용할 수 없고, 수동으로 입력해 주어야 한다.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직구 하부슬래브 경계조건에 Comp-Only?? (0) | 2022.06.01 |
---|---|
Aculvert::수평철근 배치간격이 안바뀔 때 (0) | 2022.05.27 |
닷넷프레임워크 2.0 SP1 설치파일 (0) | 2022.05.24 |
MIDAS 허용응력증가계수 -> 하중조합Factor로 적용 (0) | 2022.04.05 |
Aculvert 날개벽 주철근 2Cycle 배치 (0) | 2022.03.17 |
블로그의 정보
구조진단노트
✯